미래의 가치/재테크_주식

(재테크) 금 투자: "센골드(CENGold)"_한국금거래소(KRX)|자산관리|거래방법|은|플라티늄

라벤더의 꿈 2021. 10. 21. 13:00
728x90
320x100

인플레이션 우려감이 고조되면
'안전자산'에 관심이 많이 갈텐데요.

 

대표적인 안전자산 중 하나인 '금(Gold)'의
거래 플랫폼(App)에 대한 소개입니다.


  CONTENTS
1. '금(Gold)'의 개요
2. 거래 플랫폼(App, CENGold) 소개  

  1. '금(Gold)'의 개요  

 

  화폐의 역사(*금)  


금을 투자하기 앞서 간략히 그 역사를 살펴보자.

최초, 금은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화폐였다.

금본위제(화폐 가치와 금 일정량의 가치가 등가관계를
유지하는 본위제도)를 채용 및 채택(19C)하면서
미국달러가 기축통화(고정환율, 1oz=35$)로 인정된다.

하지만, 금의 희소성에 반한 달러의 공급증가로
달러가 가치의 딜레마에 빠지게 되면서
'닉슨쇼크(금본위제도 폐지 선언, 1971)'가 일어난다.

그에 따라 달러가 기축통화 지위를 잃을 위기에서
'오일머니' 즉, 페트로 달러(Petro Dollar)체제를 통해
지금까지도 기축통화의 지위를 지키게 되었다.

원유는 지속적 생산과 소비가 일어나는 구조
달러 통화량의 증가에도
그 가치가 어느 정도 유지가 가능했기 때문이다.

다만, 금은 여전히 '달러' 및 '엔화'와 함께
대표적 안전자산으로 통용되고 있다.

금의 가격 결정요인



금의 가격 결정요인은
대표적으로 '달러/금리/국제정세'로 볼 수 있는데,

1. 금은 달러의 대체제달러의 선호가 낮을수록
금의 선호도는 올라가는 역의 관계에 있다.
2. 금리가 상승시 채권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나는데,
이는 금의 선호도가 낮아지는데 영향을 미친다.
3. 국제정세의 불안정은 안전자산 선호도를 높이면서
금의 선호도가 올라가는 정의 관계를 가진다.
4. 그 외, 수요(귀금속/투자/은행비축/산업)에 따라
가격에 영향을 주게 된다.

참고로 대표적인 금값 대세 상승기는 아래와 같다.
'대공황 / 닉슨쇼크 / 양적완화(2008)'

금 거래방법


금을 거래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다.

1. 금 ETF
레버리지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차익의 15.4% 과세가 되며,
해외의 경우, 양도세가 부과된다.

2. 금 통장
비싼수수료와 차익의 15.4%가 과세된다.

3. 한국거래소(KRX) 금현물(*추천)
신용도 있는 거래소의 안정적 거래가 가능하며,
'차익 비과세 & 매매수수료 0.2% 이하'의 장점과
실물출고(*비용 발생)도 가능하다.

2. 거래 플랫폼(App, CENGold) 소개


"센골드" 거래앱은 금/은/백금 현물을
모바일 교환권으로 거래하는 시스템이다.


국제시세, 국내외 시장동향을 참고
(주)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이 책정한
시세(단일가 거래)로 거래한 실물자산 교환권은
100% 실물로 관리되며,
회계법인의 정기적 감사 실시 및 결과 공개가 이뤄진다.


즉, 모바일 교환권 거래를 통해
실물 거래시 발생하는 스프레드를 없앨 수 있으며,
교환권을 통해 실물 출고(*비용발생)도 가능하다.
그리고 차익에 대해 비과세가 적용되나,
매매수수료는 0.5%(21.07.15 14시부)이다.


그리고 제휴사 포인트를 통해
매매가 가능한 점도 장점이라 할 수 있겠다.


단순 참고용으로 보기 바라요^^
감사합니다.

728x90
320x100